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이어트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많이 찾고 있는 장용성 락토페린에 대해 알아보자.
장용성 락토페린이란?
먼저 "장용성"이라는 말은소화과정에서 위에서 분해되거나 그 기능을 잃지 않게 목적물질을 보호시키는 제제(장용성 제제)이다. 말그대로 장용성 락토페린은 "장까지 안전하게 도달하는 락토페린"이라는 뜻이다.
그렇다면 락토페린은 무엇일까? 락토페린은 거의 모든 포유동물의 젖 속에 함유되어 있는 우유단백질이다. 그 양은 동물의 종에 따라 차이가 나며(보통 사람과 젖소에 많다) 특히 초유가 보통 젖에 비해 락토페린의 농도가 매우 높다. 사람의 경우 초유에서 5~7 mg/ml, 초유가 아닌 모유에서는 1~3 mg/ml 를 함유하고 있다.
상업적으로 락토페린은 유전자변형 쌀에서 추출하지만, 우유에서도 추출할 수 있다.
초유에 많다는 락토페린, 그 효능은?
기본적으로 락토페린의 효능은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것에 있다. 보통 아기들의 분유에 많이 첨가되는 물질이었다. 허나, 락토페린의 효능은 면역력 증가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가 있다.
- 감염 보호(항바이러스) : 박테리아, 바이러스 및 진균과 같은 우리몸에 해로운 미생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
- 위 궤양을 유발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(H. pylori)의 감염률을 줄여줌
- C형 간염의 퇴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면역계 단백질인 인터루킨-18의 수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됨
- 여드름 발생 억제 및 피지 분비양 감소
- 우리의 장내에 있는 유익균인 비피더스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
- 내장지방 축적 억제 효과
락토페린의 많은 효능 중 식약처에서 인정한 기능성은?
락토페린은 이처럼 많은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좋은 식품 소재이다. 그러나, 식약처에서 이 모든 기능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. 식약처에서는 엄격한 평가에 따라 실제로 효능을 기대할 수 있는 항목에 인증을 해준다. 이를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원료라고 한다. 인정 받은 원료를 정해진 양에 맞춰 사용해야만 "건강기능식품"이 될수 있는데, 락토페린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인정되었다.
○ 원료명 : 락토페린(우유정제단백질)
○ 인정번호 : 제2013-20호 (2013.07.10.)
○ 업체 : 라이온코리아(주)
○ 기능성내용 :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
○ 일일섭취량 : 300 mg/일
○ 섭취 시 주의사항 :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하여 알레르기 나타내는 사람은 섭취에 주의
락토페린의 부작용은?
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원료로 알려져 있다. 다만, 우유 및 유제품에 알러지가 나타나는 사람은 섭취에 주의하여야 한다.
락토페린 복용방법
락토페린이 장에 도착했을때 수면상태이면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므로, 자기 전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. 섭취량은 1일 300 mg이며 과다하게 복용할 경우 장 움직임이 활발해져 복통을 유발할 수 있다.
락토페린 제품추천
락토페린 제품 중 가장 핫하다는 스키니랩의 제품이다.네덜란드산 락토페린을 사용하였고 하루 한정이면 일일섭취량을 채울 수 있어 간편하다. 장용성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락토페린을 위의 산성환경에서 견디고 실제로 흡수되는 소장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수 있다.
실제로 8주간 인체적용 시험결과 허리둘레 감소, 엉덩이 둘레감소 하는 등 효과를 보였다고 한다.(British Journal of Nutrition, 2010, 104, 1688-1695)
락토페린 다이어트 300 뱃살다이어트 초유 유래 다이어트 체지방 관리 개별인정형 장용성코팅 비
COUPANG
www.coupang.com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구매 발생시 일정량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'먹는것에 대해 > (건강)식품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저온 초임계 추출법이란?(추출이란 무엇인가, 오메가 3 추출공법, 오메가3 부작용, 제품 추천) (0) | 2022.04.02 |
---|---|
먹던 찌개, 전골류 끓여서 보관해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 (0) | 2022.01.29 |
수족냉증의 원인, 개선방법(생활습관, 좋은 건강기능식품과 음식 종류 정리) (0) | 2022.01.26 |
홍삼제품 사포닌 함량이 중요하지 않은 이유(지표성분의 진짜 의미) (0) | 2022.01.20 |
김치의 과학적 원리(김치에는 왜 유산균만 자랄까? 김치가 익어갈 수록 신맛이 강해지는 이유, 김치도 상할까?) (0) | 2022.01.09 |
댓글